본문 바로가기

밀양 아리랑 3절 가사 노래 음원 듣기✅

2024. 3. 12.

밀양 아리랑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 중 하나로, 그 아름다움과 역사적 의미가 깊이 새겨진 곡입니다. 이 글에서는 밀양 아리랑의 멋과 의미를 다각도에서 탐구하고자 합니다.

 

각 지역마다 고유의 아리랑이 존재하는 가운데, 밀양 아리랑은 그 중에서도 감성적이고 서정적인 멜로디로 유명합니다. 이번 글을 통해 밀양 아리랑의 가사와 그 의미, 그리고 이 노래가 지닌 역사적 배경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그럼 이제 밀양 아리랑 3절 가사 노래 음원 듣기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밀양 아리랑의 개요

밀양 아리랑은 총 7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절마다 독특한 이야기와 감정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많은 이들에게 알려진 첫 번째 절 '날 좀 보소'와 두 번째 절 '정든 님이'는 밀양 아리랑의 대표적인 부분으로 꼽히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은 내용과 깊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 절의 가사와 함께 그 속에 담긴 의미를 해석하고, 밀양 아리랑의 아름다움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밀양 아리랑 가사

1절 가사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동지섣달 꽃 본 듯이 날 좀 보소"

(후렴)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2절 가사

"정든 님이 오셨는데 인사를 못 해, 행주치마 입에 물고 입만 방긋"

(후렴)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3절 가사

"남천강 굽이쳐서 영남루를 감돌고, 벽공에 걸린 달은 아랑각을 비추네"

(후렴)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1절과 2절의 가사 및 해석

밀양 아리랑의 첫 번째 절은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동지섣달 꽃 본 듯이 날 좀 보소"로 시작합니다.

 

이는 사랑하는 이에 대한 간절한 마음과 그리움을 표현하는 가사로, 한국 전통 음악의 서정적인 감성을 잘 나타냅니다.

 

두 번째 절인 "정든 님이 오셨는데 인사를 못 해, 행주치마 입에 물고 입만 방긋" 역시 사랑하는 이와의 만남에서 느껴지는 설렘과 수줍음을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감정 표현은 밀양 아리랑이 지닌 고유의 감성을 잘 드러내 줍니다.

3절의 가사 및 해석

세 번째 절 "남천강 굽이쳐서 영남루를 감돌고, 벽공에 걸린 달은 아랑각을 비추네"는 밀양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남천강의 휘감아 흐르는 모습과 영남루, 그리고 밤하늘에 떠 있는 달이 아랑각을 비추는 장면은 마치 한 폭의 수채화 같은 아름다움을 자아냅니다.

 

이 가사에서는 밀양의 자연과 전통이 어우러진 모습을 통해 한국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밀양 아리랑의 역사적 배경

밀 양 아리랑의 유래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아랑이라는 이름의 여인과 관련된 슬픈 전설입니다.

 

이 전설은 밀양 부사의 딸 아랑의 이야기로, 그녀의 아름다움과 비극적인 삶이 노래에 슬프고도 깊은 감성을 불어넣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배경을 통해 밀양 아리랑은 단순한 민요를 넘어서, 한 시대의 애환과 사랑, 그리고 아름다움을 담아낸 역사적인 예술 작품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밀양 아리랑의 현대적 해석과 전승

현대에 이르러 밀양 아리랑은 다양한 가수와 예술가들에 의해 재해석되고 있습니다. 송소희, 함춘호, 숙행, 웅산, 전제덕, 김연자 등 많은 가수들이 밀양 아리랑을 불러 그 매력을 현대적 감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해석과 전승을 통해 밀양 아리랑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살아 있는 문화 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더욱 빛내고 있습니다.